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0

혈액투석기의 분류와 장단점,투석막 관련 용어 혈액투석은 신장 기능이 저하된 말기 신부전 환자들의 생명을 연장시키는 중요한 신대체요법입니다. 혈액투석기와 투석막은 이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본 글에서는 혈액투석기의 다양한 분류, 각 유형별 장단점, 그리고 투석막 관련 용어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혈액투석기의 역사적 발전 혈액투석의 역사는 1913년 Abel과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 'vividiffusion'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1945년 네덜란드 의사 윌리엄 콜프(Willem Kolff)에 의해 셀로판 막을 이용한 회전 드럼 투석기(rotating drum dialyzer)가 개발되면서 혈액투석이 임상의학으로 정착하는 계기가 마련되었습니다. 1960년대에 들어 리처드 스튜어트(Richard Stewart)가 속이 빈 섬유형 투.. 2025. 4. 13.
혈액투석 적절도 평가와 건체중 사정 및 초기 혈액투석 요법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신대체 요법의 하나인 혈액투석은 환자의 생존과 삶의 질 향상에 필수적인 치료 방법이다. 2016년 대한신장학회의 말기신부전환자 등록사업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혈액투석 환자는 62,634명으로 전체 신대체요법 환자의 약 72%를 차지하며, 10년 전에 비해 약 18% 증가했다(대한신장학회, 2017). 이러한 혈액투석 환자의 수적 증가와 함께 장기 생존하는 혈액투석 환자 역시 증가하고 있어 적절한 혈액투석 수행과 합병증 예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특히 적절한 혈액투석을 위해서는 투석 적절도 평가, 정확한 건체 중 사정, 그리고 초기 혈액투석 요법시 체계적 관리가 필수적이다. 본고에서는 혈액투석 적절도의 평가 방법과 지표, 건체 중의 사정 방법, 그리고 초기 혈액투석 요법시 .. 2025. 4. 11.
혈액투석 종류 총정리: 표준부터 고유량,SLED까지 한눈에 보기 혈액투석 종류 한눈에 보기혈액투석, 어떤 종류가 있을까요? 환자에게 맞는 방식 선택이 중요합니다.혈액투석이라고 하면 대부분 병원에서 정기적으로 받는 치료로 알고 있지만, 그 방식도 다양하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환자의 나이, 상태, 생활 패턴에 따라 맞는 투석 방법이 다르답니다. 오늘은 제가 직접 알아보고 정리한 표준 혈액투석부터 SLED, 소아 투석, 고효율·고유량 혈액투석, 간투석까지 모든 종류를 속 시원히 알려드리겠습니다. 표준 혈액투석 개요표준 혈액투석은 우리가 가장 흔히 떠올리는 방식입니다. 주 3회, 1회에 약 4시간 정도 병원에 내원해서 진행합니다. 혈액을 몸 밖으로 빼서 투석기(인공신장)를 통해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한 뒤 다시 몸 안으로 넣어주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수십 년간 표준으.. 2025. 4. 10.
혈액투석 용수 수질관리의 모든 것: 검사주기, 허용범위, 정수시스템 관리 방법 혈액투석은 신부전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는 중요한 치료법으로,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투석용수)의 품질은 환자의 안전과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 사람들이 마시는 물은 약 14L/주인 것에 비해, 혈액투석 환자는 약 360L/주의 물에 간접적으로 노출됩니다. 따라서 혈액투석 용수의 철저한 수질관리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이 글에서는 혈액투석 용수의 수질관리를 위한 검사주기, 방법, 허용범위 및 정수시스템 관리 방안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혈액투석 용수의 중요성혈액투석 환자의 혈액은 투석막을 통해 물과 직접 접촉하게 됩니다. 일반 음용수와 달리 투석용수는 소화기관의 선택적 흡수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혈액에 노출되기 때문에, 음용수보다 더 엄격한 수질기준이 적용되.. 2025. 4. 8.
혈액투석 중 영양제, 항생제, 조영제 투여 시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 혈액투석 환자는 신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양한 약물을 필요로 하며, 그중에서도 영양제, 항생제, 조영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혈액투석의 특성상 약물의 투여 경로, 투약 시점, 약물 제거 여부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혈액투석 환자에게 사용되는 주요 약물의 종류와 투약 시 주의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영양제의 종류와 투약 시 주의사항주요 영양제 종류혈액투석 환자는 식사 섭취량이 부족하거나 단백질 손실이 많기 때문에 여러 영양 보충제가 필요합니다.수용성 비타민(B군, C): 투석 중 제거되기 쉬우므로 정기적인 보충이 필요 철분제제: 빈혈 관리에 필수적이며, 경구제 또는 정맥주사 형태로 투여활성형 비타민 D (칼시트리올, 알파.. 2025. 4. 8.
혈액투석 환자의 칼슘 및 인 대사질환 관리와 증상 및 약물치료 혈액투석 환자에게 있어 칼슘(Ca)과 인(P)의 대사 조절은 매우 중요한 치료 목표 중 하나입니다. 만성 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의 진행으로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칼슘과 인의 균형이 깨지고, 이로 인해 부갑상선호르몬(PTH)의 과다분비, 뼈 대사 이상, 심혈관 질환의 위험 증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투석 환자에서 칼슘-인 대사 이상은 사망률 증가와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혈액투석 환자의 칼슘 및 인 대사질환 관리 전략과 그에 사용되는 약물의 작용기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칼슘-인 대사 이상이란?신장이 손상되면 인(P)의 배설 기능이 감소하게 되며, 혈중 인 농도가 상승합니다. 반면 비타민 D의 활성화 능력도 감소하여 칼슘 흡수가 줄고, 혈청.. 2025.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