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은 만성 신부전 환자에게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치료입니다. 하지만 이 과정은 감염 위험이 높아 세심한 감염 예방 관리가 필수입니다. 특히 공기주의 감염병을 가진 환자의 경우,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한 철저한 관리와 간호가 필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공기주의 감염환자의 혈액투석 시 주의사항과 간호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공기주의 감염이란?
공기주의 감염(Airborne precautions)은 병원균이 공기를 통해 퍼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질병에는 결핵(TB), 홍역(Measles), 수두(Varicella) 등이 있습니다. 이들 병원체는 작은 비말핵(droplet nuclei) 형태로 공기 중에 장시간 떠 있을 수 있어, 일반적인 접촉이나 비말 전파보다 더 광범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공기주의 감염환자의 혈액투석 시 주의점
1. 음압격리실 또는 별도 공간 확보
공기주의 환자는 일반 투석실이 아닌 음압격리실 또는 전용 투석 공간에서 투석을 받아야 합니다. 환기를 철저히 관리하여 병원균이 외부로 퍼지지 않도록 해야 하며, 가능한 한 HEPA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2. 개인 보호장구(PPE) 철저 착용
투석을 담당하는 간호사 및 의료진은 N95 마스크 또는 동급 이상의 호흡 보호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며, 가운, 장갑, 고글 또는 안면 보호구도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이때, PPE 착용 및 제거 절차를 정확히 숙지하고, 오염 방지를 위한 손위생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3. 환자 이동 최소화
공기주의 감염 환자는 병원 내 이동을 최소화해야 하며, 불가피한 경우에는 환자에게도 **수술용 마스크(surgical mask)**를 착용시켜 다른 환자나 직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동 시 이동경로도 사전에 소독 및 차단 조치가 필요합니다.
4. 투석기기 및 주변 환경 소독
투석 종료 후에는 투석기기, 혈액회로, 투석침대, 주변 표면 등을 고수준의 소독제로 철저히 소독해야 합니다. 감염 예방을 위해 전용 기기 사용이 이상적이며, 공용기기 사용 시 반드시 철저한 중간 및 최종 소독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공기주의 감염환자 간호 시 핵심 포인트
1. 감염 전파 차단 교육
간호사는 환자와 보호자에게 기침 예절, 마스크 착용법, 손위생 방법 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해야 합니다. 특히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타인을 향하지 않도록 지도하고, 자가 격리 원칙도 안내해야 합니다.
2. 감시 및 모니터링
환자의 체온, 호흡기 증상, 산소포화도(SpO2) 등을 정기적으로 확인하여 병세 악화를 조기에 감지하고, 필요시 감염내과 협진을 요청해야 합니다. 또한, 투석 중 호흡곤란이나 발열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투석을 중단하고 의사의 지시에 따라 조치합니다.
3. 정서적 지지 및 심리 간호
공기주의 감염환자는 격리로 인한 외로움, 불안, 우울 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심리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따뜻한 말과 정서적 지지를 통해 환자가 치료에 긍정적으로 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4. 문서화 및 보고
간호기록에는 격리 상태, 사용한 PPE 종류, 투석 전후 환자 상태, 투석 기기 소독 여부 등을 상세히 기재해야 하며, 감염관리팀과의 협조 하에 의심 증상 및 감염 징후 보고 체계를 준수해야 합니다.
안전한 혈액투석 환경 조성을 위한 노력
공기주의 감염환자의 혈액투석은 환자의 생명과 병원 전체의 감염 관리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투석실 간호사는 감염병의 특성과 전파 경로를 이해하고, 철저한 감염 예방 수칙을 준수하여 환자와 의료진 모두의 안전을 보호해야 합니다. 또한, 최신 감염관리 지침을 지속적으로 숙지하고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