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환자의 동정맥루 수술 및 중재술
1. 동정맥루란?
혈액투석이 필요한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효과적인 혈관 접근입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방법이 바로 동정맥루(Arteriovenous Fistula, AVF) 수술입니다. 동정맥루는 동맥과 정맥을 외과적으로 연결하여, 혈류량이 풍부한 투석 전용 혈관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 혈관은 반복적인 투석 바늘 삽입에도 견디며,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접근 경로를 제공합니다.
2. 동정맥루 수술의 필요성
투석 환자는 주 3회 이상 혈액을 체외로 순환시켜 정화해야 하므로, 견고하고 지속 가능한 혈관 접근로가 필요합니다. 중심정맥 카테터는 감염 위험이 높고 장기간 사용에 부적합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환자에게 동정맥루 수술이 권장됩니다. 또한 조기에 시행할수록 성공률이 높고 합병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중심정맥 카테터보다 감염 위험이 낮고 장기적 사용이 가능한 동정맥루 수술은 대부분의 투석 환자에게 권장됩니다.
3. 수술 절차
동정맥루 수술은 일반적으로 국소마취 하에 시행되며, 팔의 동맥(보통 요골동맥)과 정맥(보통 주피정맥)을 연결합니다. 수술 후 약 4~8주 동안 혈관이 성숙하는 기간을 거쳐야 하며, 이후부터 투석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합병증
혈관 폐쇄 : 혈전이나 협착에 의해 혈류가 차단되는 경우
혈류 부전 : 충분한 혈류량이 확보되지 않아 투석이 어려운 경우
감염 : 드물지만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음
혈류 과잉 증후군(Steal syndrome) : 손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여 손이 저리고 차가워질 수 있음
5. 중재술
동정맥루가 협착되거나 폐색 되었을 때는 중재적 시술(Interventional Procedure)로 혈관을 다시 열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방법은 경피적 혈관성형술(PTA,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입니다. 이 시술은 혈관 내에 풍선(벌룬)을 삽입하여 좁아진 부위를 확장하는 방식으로, 비수술적이며 회복도 빠릅니다.
또한 심한 경우에는 스텐트 삽입술을 통해 혈관의 개방성을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6. 관리 방법
정기 초음파 검사 : 협착 여부 확인
자가 진단 : 매일 동정맥루 부위에 진동(스릴) 확인
이상 증후 발생 시 즉시 진료
7. 결론
혈액투석 환자에게 동정맥루는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혈관 통로입니다. 수술적 접근과 더불어 중재술은 동정맥루의 기능을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조기 발견과 적절한 중재 치료로 투석 효율을 높이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본인에게 적절한 혈관 접근 방법을 계획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