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만성신부전 환자의 빈혈 발생기전과 치료방법 : 조혈제·철분제·수혈 부작용

by 루나숲 2025. 4. 8.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빈혈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

에리스로포이에틴(EPO) 부족

신장에서 생성되는 에리스로포이에틴이 감소하여 골수에서 적혈구 생성이 줄어듭니다.

만성신부전 빈혈 원인 1위입니다.

 

분 결핍

식이 섭취 부족, 흡수 장애, 만성 출혈로 인해 철분이 부족해짐.

기능적 철 결핍(iron-restricted erythropoiesis)도 흔함.

 

염증과 독성 물질

만성 염증으로 인한 에프시딘 증가 → 철 흡수 및 동원 억제

요독 물질에 의한 적혈구 생존 기간 단축

 

기타 요인

엽산, 비타민 B12 결핍

출혈, 혈액투석 시 손실

 

만성신부전 빈혈 치료 방법

조혈자극제(ESA) 투여

에리스로포이에틴을 보충하여 적혈구 생성을 유도

대표 약물: Epoetin alfa, Darbepoetin alfa

투석 환자 및 비투석 환자 모두 사용 가능

 

철분제 투여

경구철(oral iron) 또는 정맥철(intravenous iron) 사용

철 결핍 또는 기능적 철 결핍 시 병용

 

수혈(Transfusion)

응급상황이나 ESA 치료 실패 시 고려

장기적으로 면역 감작 등의 부작용 가능

 

기타 보충요법

엽산, 비타민 B12, 비타민 C 등

 

 

 조혈제 사용 시 주의점

적정 목표 Hb 수치 유지 (10~11.5 g/dL)
과도한 상승은 심혈관계 위험 증가

고혈압 악화 가능성

ESA 저항성 확인 시 염증, 철분 결핍, 감염 여부 확인 필요

 

철분제 투여 시 주의점

Ferritin < 500 ng/mL, **Transferrin Saturation (TSAT) < 30%**일 때 보충 고려

경구 철분제는 위장 장애, 흡수율 낮음

정맥철 사용 시 과민반응, 감염 위험 모니터링 필요

 

수혈팩 사진

 

 

만성신부전 환자의 수혈 치료

 

수혈의 목적

산소 운반능력 개선: 헤모글로빈 수치 저하로 인한 조직 산소 공급 저하 회복

빈혈 증상 완화: 피로감, 호흡곤란, 두통, 어지러움 등 개선

급성 출혈 또는 ESA 비반응성 빈혈 보완

신장이식 전 환자에서 면역 감작을 최소화하며 응급으로 Hb 교정

 

수혈의 적응증

급성 출혈로 인한 Hb 급격한 감소 (Hb < 7~8 g/dL)

ESA 치료 실패 혹은 반응이 늦는 경우

중증 빈혈로 인한 증상이 있을 때: 호흡곤란, 심계항진, 흉통 등

만성 빈혈이지만, ESA나 철분제로 개선되지 않는 경우

 

수혈의 종류

수혈제제설명

 

농축적혈구(PRBC) 가장 일반적인 수혈 제제. 산소 운반력 향상 목적
전혈(Whole blood) 드물게 사용. 대량출혈 시
혈소판, 신선동결혈장(FFP) 출혈 경향 또는 응고장애 시 보조적으로 사용

 

 

수혈 간호수행 절차

수혈 전 준비

의사의 처방 확인

환자 ABO/Rh 혈액형 확인, 교차시험(Crossmatching)

혈액제제 상태 점검: 유효기간, 손상 여부, 이상 침전물 확인

기본 활력징후 측정 (혈압, 맥박, 체온)

 

수혈 중 간호

시작 15분 간 집중 관찰 (알레르기 반응, 발열, 호흡곤란 등)

수혈 속도 조절: 일반적으로 1 단위당 1.5~2시간 소요

활력징후 모니터링

 

수혈 후 간호

활력징후 재측정 및 기록

부작용 여부 확인: 발열, 오한, 호흡곤란, 두드러기, 요통, 혈뇨 등

수혈 기록 유지 및 폐백 적절 처리

 

수혈 부작용 및 간호중재

 

                   부작용                                           증상                                                            간호중재

 

발열성 비용혈 반응 오한, 발열, 근육통 수혈 즉시 중단, 해열제 투여
용혈성 반응 (ABO 불일치) 발열, 요통, 핍뇨, 저혈압 즉시 중단, 신속 보고, 활력징후 체크
알레르기 반응 발진, 가려움, 호흡곤란 항히스타민제 투여, 심할 경우 에피네프린
감염 전파 위험 HBV, HCV, HIV 등 철저한 사전 검사, 멸균 수혈 관리
철 과다증 (반복 수혈 시) 간기능 이상, 피부 착색 철 킬레이트제 사용 고려

 

만성신부전 환자 수혈 시 주의사항

 

수혈 전후 철분 수치(Ferritin, TSAT)와 Hb 변화 모니터링

면역 감작 주의: 이식 후보자일 경우 수혈 최소화 권고

ESA와 병용 시, 가능한 수혈 최소화하여 감작 위험 줄이기

감염 예방을 위한 멸균 및 무균 관리 철저